승화 sublimation
프로이트의 저술
승화
리비도가 예술적 창조나 지적 작업 같은 명백하게 비 성적 행위로 돌려지는 과정
만일 그렇게 승화되지 않았다면 사회적으로 승인되지 않는 형태(도착증적 행동)나 신경증적 증사으로 방출되었을 과도한 성적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용인된 안전밸브를 통해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완전한 승화는 모든 도착증과 모든 신경증의 끝을 의미한다는 것
라깡 1959-60 세미나 승화를 다룸
사회적 인정이란 요소가 이 개념의 중심
욕동들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대상으로 전환되는 한에 있어서야 그것들이 승화되었다고 말해질 수 있다.
승화의 개념은 윤리의 논리와 연계된다.
이러한 공유된 사회적 가치의 차원에서
프로이트와 라깡의 승화논의의 차이점
1. 도착증적인 성은 욕동의 직접적 충족의 한 형태로서 가능하다.
승화는 단지 이런 직접적 충족 형태가 사회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라깡
충족의 영도(zero degree)개념 거부
도착증은 리비도를 발산시키는 동물적인 자연적 수단이다.
그 자체가 이미 생물학적인 힘보다는 언어적인 욕동과 상당히 구조화된 관계를 맺고 있다.
2
프로이트
완전한 승화는 특별히 세련된 문화인들에게 가능하다
라깡
"개인에게 완전한 승화는 가능하지 않다."
3
프로이트
승화는 다른(비성적인) 대상으로 욕동의 방향을 바꾸는 것과 연관
라깡
변화하는 것은 대상이 아니라 환상의 구조에서 그 위치
승화는 욕동을 다른 대상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욕동이 이미 향해 있는 대상의 본질을 변화키는 것
즉 '대상 그 자체의 변화'이다.
이는 욕동이 '이미 능기(시니피앙)의 표명에 의해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 시니피앙의 표명이라하면 그것이 언급, 혹은 발화, 문자화 되었다는 것?
이미 언급되었기 때문에, 즉 성적이고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못할 것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대상을 변화시킨다는 것?)
대상의 숭고한 특성은 대상 그 자체의 본래적 속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환상의 상징적 구조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대상의 위치의 효과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승화는 물(thing)의 위치로 대상을 재배치시킨다.
승화에 대한 라깡의 공식은
'대상을 물의 존엄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4
프로이트
승화를 창조성과 예술로 연결시킨다.
라깡
프로이트의 위 의견에 동조
동시에, '죽음의 욕동'과 연결시킨다.
이유
1. '죽음의 욕동'이란 개념 자체가 프로이트 자신의 승화의 산물이다.
2. 죽음의 욕동은 단지 '파괴적 욕동'일 뿐만 아니라,
'무에서 유를 창조하려는 의지'이다.
3.
숭고한 대상은 물의 존엄으로 고양되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죽음과 파괴로 이끄는 매혹의 위력을 발휘한다.
딜런 에반스, <<라깡 정신분석 사전>>, 김종주 외 역, 인간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