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돌로지> 1독 완료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한 정리를 목적으로. 임상면에서는 '브루스 핑크(Bruce Fink)'의 이론면에서는 '맹정현'의 이 두권을 정독하기로 했던 것은 너무도 탁월한 선택. 읽는 도중 많은 변화가 있어왔는데, 나는 그 변화가 이 가운데서 나온 증상에 대한 적절한 위치짓기였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대단한 것, 감명으로 여겨질만 했던 것은, 라캉이 스스로에게 돌아오는 자신의 이론에 대해, 그것을 하나의 증상으로 설정하고, 그것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했다는데 있다. 상징적인 질서 가운데서, 주이상스에 의한/에 대한 제스쳐를 설정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삶의 전부라 한다면, 라캉이란 '아버지-의-이름'/'대상 a'는 어느 쪽이든 적절한 선택이 될 것이다.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44 다음